본문 바로가기

블렌더 강의 내용 정리용/[Blender Guru] 블렌더 4.0 도넛 만들기 정리용14

[Blender Guru] 블렌더 4.0 도넛 만들기 파트 14: 피날레 다 끝냈다.렌더링만 거의 2~3시간 걸렸다.이래서 렌더링 전 하나하나 디테일하게 보라고 하셨구나. 이제 이걸 영상으로 만들자. 1. 영상 더보기 비디오 에디팅 클릭.  그러면 이런곳으로 오게 된다.  [Shift] + [A] → Image/Sequence  경로로 찾아가 다 불러오자.  이미지 파일들이 합쳐져 영상으로 나온다.아래의 이미지 시퀀서 척도 조절이 하고 싶다면 마우스 휠 클릭 드래그.  30프레임이 안나온다.  우측의 아웃풋에서 프레임 레이트에 손을 대자.  여기 끝을 클릭하면  마지막 프레임인 160이 뜬다.이걸  드래그 해서 늘리거나 [G]를 눌러 조정하면  마지막 프레임을 길게 늘릴 수 있다.  본인은 이를 200까지 늘리고 우측의 Frame Range의 끝을 200 으로 맞추기로 했다... 2024. 8. 7.
[Blender Guru] 블렌더 4.0 도넛 만들기 파트 13: 렌더링(2) 0. 들어가기 전더보기  끔찍할 정도로 많은 노이즈렌더링시에 샘플이 적으면 이런 노이즈가 꽤 생긴다는 것 같다.위의 영상 초반에서 이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Max Samples를 500으로 늘려주자.그리고 위에있는 Noise Threshold는 꺼주자. Noise Threshold는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blender&no=15625 여기 댓글에 잘 설명되어있다.수치가 낮을 수록 계산을 디테일하게 하고 높을 수록 대충 한다고 생각하면 될라나. Time Limit은 샘플 계산에 걸리는 시간에 제약을 준다.만약 20초로 설정한다면, 20초내에 샘플 500개 다 계산 못하면 거기서 끝나는거임.  이거 누르면 만든 영상 뽑을 수 있다.그 .. 2024. 8. 6.
[Blender Guru] 블렌더 4.0 도넛 만들기 파트 12: 애니메이션 기본더보기  빨간색 부분은 타임라인이라고 한다. 어떤 오브젝트를 누르고 [K]를 누르면 인서트 키프레임 메뉴라는게 뜬다.우리는 카메라가 움직여야 하므로, Location을 클릭한다.  그러면 0프레임일 때 저 위치에 있는거다.  앞으로 옮겨서 100프레임에 맞추고 [K] → Location에 맞춘 모습이다. 더보기 0프레임에 맞추고 스페이스바를 누르면카메라가 움직인다.  우리는 이렇게 움직이는 카메라가 필요하다.Empty더보기  여기에 3D 커서를 두고 ([Shift] + 우클릭)  [Shift] + [A]로 Empty에 들어가 아무거나 누르자.본인은 Plain Axes를 소환했다.  Data에 들어가면 변경 가능하다.  Sphere로 변경하니 지름 1미터짜리 구가 나왔다.  크기를 줄이고카메라와 패런팅.. 2024. 8. 5.
[Blender Guru] 블렌더 4.0 도넛 만들기 파트 11: 컴포지팅 현재까지의 진행과정이다.약간의 수정더보기  Sun Rotation을 -89도로 돌려놨다.  테이블에 반사되는 빛을 줄이기 위해 창문을 좀 줄였다.  에딧모드에서 만약 커서가 바뀌었다면 [W]를 눌러서 커서를 교체할 수 있다.  검은 벽도 완전히 검게 처리했다. 추가 광원더보기 3D 커서를 여기 두고 광원을 하나 만들자.   Area 라이트를 하나 두자.  와이어프레임으로 확인해보면, 줄이 향하는 방향으로 빛이 나아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y축으로 90도 돌리고, 크기를 줄이자.  도넛에 맞춰 정렬하고  광량도 줄여주자.  색 변경과 위치 조정도 조금 했다. 컴포지팅 탭더보기  상단의 컴포지팅 탭으로 가자.  좌상단의 Use Nodes 체크하면 저런게 뜬다.왼쪽에 있는게 내가 한 렌더고, 오른쪽은 결과.. 2024. 8. 2.
[Blender Guru] 블렌더 4.0 도넛 만들기 파트 10: 라이트닝 하느님께서 '빛이 있으라'라고 외치시자, 태초에 빛이 생겨났다.근데 본인 종교 안 믿음햇빛더보기  하느님께서 빛을 제거하시란다.  침침하다.  오른쪽 World에서 Color의 노란색 원을 클릭하고, Sky Texture를 눌러주자.  오우  우측의 Sun Rotation을 90도로 꺾어주면  이렇게 된다.  -75도로 돌려놓고 Scene으로 들어와 스크롤을 내리면  컬러 매니지먼트가 있다. 여기서 노출 값을 조정해주면  훨씬 보기 좋다.   다시 World로 돌아와 엘리베이션을 조정하면     엘리베이션을 90도로 맞춘 모습.  센세를 따라 15도로 맞춰주었다.  Sun Size를 변경해 보았다. 좌측은 0.545, 우측은 3좌측은 구름없이 쨍쨍한 날씨 같고, 우측은 따스한 느낌이다. 상하좌우 벽면더보.. 2024. 8. 1.
[Blender Guru] 블렌더 4.0 도넛 만들기 파트 9: 레이아웃 접시더보기  상단 메뉴와 메뉴사이에 우클릭하면 저렇게 뜬다.  버티컬 스플릿을 통해 화면을 나눴다. 접시는 만든거다.  화면마다 어떤 에디터를 꺼내올 수 있는지 선택 가능하다.  두 화면이 필요하진 않으므로 다시 치워주고, Circle을 불러오고버텍스 수를 정하고 크기도 조정하자.  키보드 상단의 [123]을 통해 버텍스, 에지, 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E] + [Z]  [S]  [E] + [S]  [E] + [Z], [S]  [Z] → 와이어프레임 모드 아랫 부분을 [Alt] + 클릭으로 잡고 [F]를 누르면 페이스가 만들어진다.  [Ctrl] + [B]로 베벨 하기전,  여기 다 잡아서 베벨 하면  이상하다. 에지 선택하고 [Alt] + [Shift] + 클릭해서 저렇게 잡자.   다시 [Ct.. 2024. 8. 1.
[Blender Guru] 블렌더 4.0 도넛 만들기 파트 8: 렌더링 매테리얼더보기  스프링클 하나 집고 매테리얼 하나 만들자.  스피어도 꺼내와 다 선택해주고, 아까 실린더.003에 매테리얼을 만들었으니까 저걸 마지막으로 선택하자.  [Ctrl] + [L] 하고 Link Materials  이제 이 5개의 오브젝트는 같은 매테리얼을 공유한다.스프링클 색 입히기더보기  셰이딩 탭으로 넘어오자.  [Shift] + [A] → Input → Object Info  랜덤을 베이스 컬러로 이어주자.  도넛이 저렇게 됐다.자세히 보면 같은 크기의 스프링클이라도 색이 다 다르다.랜덤 밸류로 인해 0에서 1 사이에서 무작위로 결정된 듯 하다. [Shift] + [A] → 컨버터 → 컬러 램프본인은 FPS충이라 컨버터가 보이면 긁힌다.  짠 붉은 동그라미 친 곳 클릭하고 각각 빨간색과 .. 2024. 7. 31.
[Blender Guru] 블렌더 4.0 도넛 만들기 파트 7: 지오메트리 노드(길쭉해요 스프링클) 요샌 이거 공부할 때가 제일 즐겁다. 길쭉해요 실린더더보기  [Shift] + 우클릭 하면 3D 커서를 옮길 수 있다.  실린더 소환  크기 줄이고 저폴리곤화  너무 가까이 가면 잘린다.  [N] → View에서 Clip Start를 줄여주면 해결된다.  롱노즈 스프링클에 맞게 늘려주자.  위 아래 페이스를 잡고 [Ctrl] + [B]를 하면 베벨이 가능하다.베벨 단계는 휠 스크롤 업 다운으로 조절 가능하다. 휠 업 두번으로 캡슐이 나왔다.  하나 복사해주고   셰이드 스무스 하는 걸 깜빡했다.  에딧 모드에서 엑스레이 켜주고 윗부분만 잡아주자.  중간 크기 스프링클  같은 방식으로 제일 긴 스프링클도 만들어 주자.  꺾여있는 스프링클을 위해 [Ctrl] + [R]로 루프 컷을 해준다.이거도 휠 업 휠 .. 2024. 7. 30.
[Blender Guru] 블렌더 4.0 도넛 만들기 파트 6: 지오메트리 노드 지오메트리 노드 탭더보기  지오메트리 노드에 들어오면 진입장벽을 안겨주는 섹션이 있다.  ㄲㅈ  아이싱을 선택해주고, 중앙에 새 지오메트리 노드를 열어주자.  짠  [Shift] + [A] → Set Position을 입력해 노드 하나를 꺼내왔다.  첫 번째 노드에서 두 번째 노드에 오프셋을 연결하면  레이아웃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노드 손대기더보기  [Shift] + [A] → Point → 두 번째꺼  괴상한 친구들이 등장했다.  Density를 조정하면 갯수 조절이 된다.근데 아이싱이 사라졌다.  [Shift] + [A] → Geometry → Join Geometry  Join Geometry의 앞머리가 특이하게 생겼다. 이는 여러 노드를 끌어 올수 있다는 말이다.  그룹 인풋에서 Join Geom.. 2024. 7. 29.